Peace BAR Festival 2025 소개

제 40회 UN 제정 세계평화의 날 기념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

The Moment of Chaos: The Planetary Consciousness and Future Politics

경희학원은 1981년 유엔 세계평화의 날 제정 이래, “학문과 평화”를 지향하는 <유엔 세계평화의 날 기념 국제회의-Peace BAR Festival(PBF)>을 개최해 왔습니다. 올해 제44회를 맞아,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를 주제로 인류사회가 직면한 문명사적 위기와 전환의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지구사회는 지금 전례 없는 혼돈의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는 생명의 기반을 흔들고, 혼돈의 국제정세는 핵전쟁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의 급진전과 지구 산업 문명의 확산은 유례없는 삶의 편익을 가져왔지만, 그 이면에선 지구상 모든 존재의 운명을 가를 실존적 위기가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례적인 문명사적 혼돈 앞에 우리는 이제 물어야 합니다. 인류는 생존과 번영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떤 의식과 상상의 지평 위에, 지구적 실천의 활로를 열어갈 것인가?

문명사적 난제와 기회가 촘촘히 엮인 초연결의 인류사회, ‘행성 의식(planetary consciousness)’은 논의의 출발점일 수 있습니다. 인간과 자연, 문명과 우주를 잇는 종합적․전일적 사유는 복합 위기, 문명사적 중층 위기를 헤쳐가는 데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사안입니다. 이번 <유엔 세계평화의 날 기념 국제회의-PBF>는 유례없는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전환의 시대를 맞아, 새로운 시민 의식과 지구정치의 활로 찾아 나서는 논의의 장을 마련합니다.

경희학원은 ‘학문과 평화’의 가치를 구현해 온 종합 학술·교육 기관입니다. 이번 행사가 인류와 미래세대의 더 나은 내일을 향한 성찰과 모색의 장이 되길 기원합니다. 귀하를 PBF 2025에 초대합니다.

혼돈의 순간, 새로운 평화의 길을 찾아 나섭니다.

Peace BAR Festival 카드뉴스

1 /

Peace BAR Festival 2025 프로그램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

The Moment of Chaos: Planetary Consciousness and Future Politics

2025년 9월 19일(금)~20일(토)

세계평화 주간 : 2025년 9월 15일 (월) ~ 20일 (토)

주 최 경희학원
주 관 미원평화학술원,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경희대학교 의료원 의과학문명원

세계평화의 날 기념식

9월 19일(금) 09:30~10:20

세계평화의 날은 인류가 지향해야 할 가장 근원적 가치인 평화를 되새기고, 그 의미를 성찰하는 자리입니다. 경희는 유엔 세계평화의 날 제정 이래 매년, 학문과 평화를 잇는 공론의 장을 펼쳐오고 있습니다.

오늘날 인류는 기후위기, 핵전쟁, 기술문명의 불확실성 등 실존의 토대가 흔들리는 시대적 혼돈 속에 서 있습니다. 어떤 의식과 실천이 이 전환의 시대를 넘어설 수 있는가.

이러한 물음과 함께 조인원 경희학원 이사장은 “혼돈의 순간, 전일적 실존의 활로”라는 기념사를 통해 오늘의 위기와 내일의 가능성을 성찰하고, 평화를 향한 새로운 사유를 제안합니다.

기조연설은 하버드대학교 나오미 오레스케스 교수가 맡아, “글로벌 사회에서 행성 사회로: 미래 문명의 새 항로를 찾아”(가제)라는 주제로, 오늘의 위기를 넘어서는 행성적 전환과 문명의 방향을 모색할 것입니다.

제44회 유엔 세계평화의 날 기념식은, 혼돈의 시대를 넘어 새로운 평화와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입니다.

  1. 개회

    • 김현 경희학원 사무총장
  2. 세계평화의 날 제정 경과보고

    • 김원수 경희학원 미원평화학술원 상임고문 겸 대학교 미래문명원장
  3. 기념사

    • 조인원 경희학원 이사장
      “혼돈의 순간, 전일적 실존의 활로”
  4. 기조연설

    • 나오미 오레스케스 하버드대학교 교수
      “글로벌 사회에서 행성 사회로: 미래 문명의 새 항로를 찾아”
  5. 기념음악 상영

[특별대담]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의 활로

The Moment of Chaos, The Quest for Planetary Politics


9월 19일 (금) 10:20~12:00

특별 대담은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문명사적 혼돈을 넘어, 미래 정치와 시민 의식, 문명 패러다임의 근본적 변화를 어떻게 새롭게 시작할 것인가를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이미 잘 알려진 위기의 진단을 넘어, 우리는 ‘어떤 문명을 향해 나아가야 하는가,’ 그 근본 질문 앞에 서 있습니다.

새로운 문명의 출발점은 무엇이며, 우리는 어디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가.

이 대담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미래 문명을 이끌 새로운 정치적 상상력과 시민적 실천, 그리고 인류 공동의 ‘행성 의식’을 함께 사유하고자 합니다. 전환의 시대, 우리는 어떻게 ‘다시 사유하고, 다시 시작할 것인가’를 묻는 논의의 장입니다.

문명의 전환을 위한 문제 진단을 넘어 실천의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 행성 문명의 비전을 구체화하는 사유와 토론의 시간을 마련합니다.

  1. 주제

    •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의 활로”
  2. 사회

    • 송재룡 경희대학교 전)대학원장, 경희대학교 특임교수
  3. 패널

    • 나오미 오레스케스 하버드대학교 과학사학과 석좌교수
    • 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학교 국제정치학과 석좌교수, 경희대학교 ES
    • 조인원 경희학원 이사장
  4. 기념음악 공연

[라운드테이블]

돌파 혹은 붕괴: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의 향배

Breakthrough or Breakdown: The Future of Planetary Consciousness and Politics


9월 19일 (금) 15:00~17:00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문명 전환의 기로에 선 오늘, 인류가 어디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가를 묻는 자리입니다. 기후, 핵, 인공지능 등 문명사적 중층 위기 속에서 우리는 개인과 집단,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인류 공동 의식에 기초한 행성 의식을 함양하고 새로운 미래정치와 시민적 실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이 논의는 위기 진단을 넘어, 지구 행성 공동체에 관한 무한 연결과 공동 책임 의식 아래 새로운 지구적 연대를 구상하는 첫걸음입니다. 경희학원은 이를 바탕으로, 연말 발표 예정인 미래세대를 향한 오픈 레터의 방향을 구체화하고, 국제적 실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세계평화가 실현된 지구 행성 사회. 이를 위한 전환은 인류 공동의 책임입니다.

  1. 주제

    • “돌파 혹은 붕괴: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의 향배”
  2. 사회

  3. 패널

    • The Elders (TBC)
    • 폴 쉬리바스타바 로마클럽 공동회장
    • 마허 나세르 유엔 사무차장보(TBC)
    • 앨리스테어 페르니 The Elders CEO
    • 조르지 스자보 전)라즐로 연구소 사무총장
    • 토마시 세들라체크 하벨도서관 신임관장(TBC)
    • 요코이 아츠푸미 오카야마 대학교 부총장,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 연구 및 교육 석좌(TBC)
    • 천 즈민 푸단대학교 부총장(TBC)
  4. 질의응답

[하벨 다이얼로그]

시민적 가치와 참여, 하벨 정신의 재조명

Revisiting the Havel Spirit for Civic Values and Engagement


9월 19일 (금) 13:00~14:50

하벨 다이얼로그는 체코 민주화의 상징이자, ‘진실 속에 살기(Living in Truth)’라는 윤리적 실천을 통해 전체주의에 맞섰던 바츨라프 하벨의 사유와 정신을 오늘 다시 조명하는 대화의 자리입니다.

경희대학교는 2015년, 하벨에게 명예박사학위를 추서하며 그의 도덕적 정치철학과 시민윤리를 기리는 원탁회의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오늘, 더 복잡해진 세계와 더 깊어진 위기 속에서, 우리는 다시 하벨을 호출합니다.

세계평화의 날 기념행사로 기획된 하벨 다이얼로그는 하벨과 함께, 진실과 양심, 책임과 희망이라는 시민적 가치가 어떻게 다시 우리 삶의 중심으로 돌아올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합니다.

  1. 주제

    • “시민적 가치와 참여, 하벨 정신의 재조명”
  2. 사회

  3. 패널

    • 토마시 세들라체크 하벨도서관 신임관장
    • 마틴 리터 체코고등학술원 철학연구소 부소장
    • 박영신 전)경희학원 고황석좌
    • 신진숙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부원장
  4. 질의응답

[콜로키엄]

행성 시민으로 가는 길

A Road Toward Planetary Citizenship


9월 20일 (토) 12:30~14:10

오늘날 인류는 지구 공동체의 공존이 위협받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이제 새로운 삶의 방식과 시민 연대를 다시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이번 콜로키엄 “행성 시민으로 가는 길”은 기존의 ‘지구화(Globalization)’와 구별되는 ‘행성 사회(Planetary Society)’의 비전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자리입니다.

행성 사회란 단순한 경제적 지구화나 국가 중심의 국제질서를 넘어, 우리가 하나의 행성에 함께 거주하는 공동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행성적 책임’과 ‘행성 시민권’의 새로운 개념을 구상하는 사회입니다. 이번 논의는 국가와 로컬 단위에 머물지 않고, 인류 모두가 공유해야 할 미래 의식을 토대로 행성 사회의 가치와 실천을 구체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콜로키엄은 세계평화의 날 기념 전야 행사로서, 종교, 과학, 시민사회, 지속가능발전 분야의 전문가와 청년세대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새로운 시민성, 새로운 공동체, 새로운 사회를 향한 실질적 논의를 이어갑니다.

  1. 주제

    • “기후 정의, 세대 간 정의: 행성 시민으로 가는 길
      Climate Justice and Intergenerational Justice: A Road Toward Planetary Citizenship”
  2. 사회

    • 박정원 경희대학교 교수
  3. 패널

    • 서재영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연구교수 및 선임연구원
    • 이우균 한국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회장
    • 이명헌 과학 책방 갈다 대표
    • 신충식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부원장
    • 이윤서 경희대학교 @@학과 학생, UNAI 경희지부 회장
    • 학생 패널 1인

오시는길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서울캠퍼스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 02-961-0995~6
TOP
로딩중